점점 급증하고 있는 Data 사용량을 수용하기 위한 통신 서비스 업계의 대안은 무엇일까?
안타깝게도 딱히 방법은 많지도 않을 뿐더러 망투자에 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일이다.
네트워크 용량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일반화 할 수 있다. 정확한 수식은 아니나, 비례 관계를 따지면 그렇다는 것이다.
항목 |
효과 |
적용 기술 |
SINR |
노이즈 및 셀간 간섭 |
셀간 간섭 제어 WARP/SCAN |
T |
무선접속기술의 구현제약을 고려한 실질적 주파수 효율성 계수(LTE는 약75% 수준) |
3G → LTE → LTE-A |
N |
안테나 자원을 활용한 용량 증대 |
MIMO |
B |
전송 대역폭 확장 |
CA, LTE-U |
C |
셀수를 증가시켜서 셀당 처리할 사용자 수를 낮춤 |
스몰셀 |
<참고: 반태원 교수님 교육자료>
한마디로 주파수 사용 효율을 높이거나, 주파수 자체의 대역폭을 넓히거나, 기지국 수를 늘리거나, 셋중 하나로 보면 된다.
수식에서 log안의 공식은 샤논의 법칙(Shannon's Law)에 의해 거의 이론적 한계치에 도달했다고 보고있다.
'이동통신 이야기 > 통신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TDD 커버리지 (0) | 2016.01.22 |
---|---|
무선 접속 기술 (0) | 2016.01.05 |
디지털 통신 (0) | 2015.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