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서비스를 하되 망인프라는 직접구축하지 않는 애매한 포지션의 사업자다.
국내에서는 알뜰폰으로 더 잘 알려져있다.
1. 현황
∙ MVNO 사업자 수
- 전세계 75개국 1017개(‘15년 6월 현재)
‘10년(약600개) ~‘15년(약 1000개) 동안 70% 증가
∙ MVNO 사업 국가
- 분포도(대분류)
선진국 : 77%, 개발도상국 : 12%, 다국적 : 11%
- 주요 국가 : 중국, 폴란드를 제외하고 대부분 선진국에 분포
독일(129), 미국(108), 영국(76), 네덜란드(56), 프랑스(49), 호주(43), 덴마크(43), 스페인(35), 중국(34), 폴란드(27), 벨기에(26), 일본(23)
2. 동향
∙ 세계 각국 정부는 이통시장 경쟁 활성화, 통신비 인하정책으로 MVNO사업 육성 추진
- EC가 MNO간 합병 승인조건으로 MVNO에 망제공 (3 Ireland와 O2 합병)
∙ 중국정부 ‘14년 최초로 MVNO 라이선스 발부
∙ 한국 정부도 통신비 인하 방안으로 MVNO 장려
∙ 그 외 단신
- Facebook Whatsapp, 독일 E-Plus와 계약으로 MVNO사업(prepaid)
- 구글, MVNO시장 진출, WiFi우선 정책
- BAT와 샤오미를 비롯한 중국 IT기업들도 MVNO사업권 획득
3. MVNO 유형
∙ Reseller
- MNO(모사업자)와 동일한 상품과 서비스를 자체 브랜딩하여 재판매
- 소비자와 접점에서 브랜드 인지도 등을 이용하여 판매
- 진입이 쉽고 MNO에게도 관리가 쉬운 이점이 있음
- MNO로부터 제공받은 SIM카드 사용
. 모사업자 교체 불가
- 과금 목적의 사용자 정보를 MNO가 관리함
- 서비스가 MNO에 의존적이고 자율성이 제한적임
∙ Service Operator(Provider)
- 자체 요금제 및 서비스 패키지
- 서비스, 요금 관련 차별화 가능, MNO와 경쟁
- 자체 브랜드 SIM카드 사용
. but 모사업자 교체를 위해서는 SIM카드 교체 작업 필요
- Reseller 대비 MNO에 덜 의존적이고 자율성이있으나 구현 복잡성이 있음
. MNO코어망에서 지원하는 IMS서비스 등은 자체 서비스 불가
∙ Full MVNO
- 인프라 시설을 제외한 대부분의 망 제어 권한 보유
∙ NVNE
- 도매로 임대한 망을 다른 작은 MVNO에 재판매(중간판매자)
- End-User와의 접점을 갖지 않음
|
Reseller (단순 재판매 사업자) |
Service Operator (부분MVNO) |
Full MVNO/MVNE
| |
자체 무선 주파수 |
없음 |
없음 |
없음 | |
자체 SIM카드 |
미발급 |
발급가능 |
발급 | |
자체 MNC |
미보유 |
보유가능 |
보유 | |
망인프라 |
교환망(MCS) |
없음 |
없음 |
보유 |
HLR/AuC |
없음 |
보유가능 |
보유 | |
VAS플랫폼 |
보유가능 |
보유가능 |
보유 | |
소비자관리 과금시스템 |
보유가능 |
보유 |
보유 | |
가격설정 |
미약 |
|
자체가격 | |
브랜드 |
(Branded/unbranded) |
|
독립브랜드 | |
타사업자 로밍계약 |
|
|
직접계약 |
'이동통신 이야기 > 통신사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O2O(Online-to-Offline) (0) | 2015.12.24 |
---|---|
비면허 대역(Unlicensed) (0) | 2015.12.23 |
미국 FirstNet (0) | 2015.12.21 |
OTT (Over-the-Top) (0) | 2015.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