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보기 ▼'에 해당되는 글 179건

  1. 2015.12.25 The walk - 하늘을 걷는 남자
  2. 2015.12.24 be in line with ~
  3. 2015.12.24 O2O(Online-to-Offline)
  4. 2015.12.23 비면허 대역(Unlicensed)
  5. 2015.12.23 bent out of shape
  6. 2015.12.23 tell off
  7. 2015.12.23 open up a can of worms
  8. 2015.12.23 구 스테이크 733 (GOO STK 733)
  9. 2015.12.23 미니 크리스마스 트리 꾸미기
  10. 2015.12.22 fork out (some money)

숫자로 보는 WTC 외줄타기 사건 (영화 "하늘을 걷는 남자"의 실제 배경)

사건 발생 시기 : 1974년 8월 7일

실존 인물 당시 나이 : 24살

빌딩 높이 : 1350 ft(약 411m) ,110층

줄 길이 : 200 ft(약 70m)

공연 시간 : 총 45분

횡단 횟수 : 8번

준비 기간 : 6년(실제잠입기간 수개월)

봉길이 : 26 ft(약 8m)

봉무게 50 lb(약 22kg)

 

영화에서 묘사된 대부분이 실화와 거의 다르지 않다. 그만큼 Philippe Petit, 이 남자의 인생이 dramatic한게 아닐까...

The True Story Behind the Movie

With today's release of 'The Walk,' here's a look back at Philippe Petit's "artistic crime of the century," which inspired the movie.

Philippe Petit's historic walk between the twin towers of the World Trade Center in 1974.

On August 7, 1974, a young Frenchman caught the attention of jaded New Yorkers by wire-walking between the twin towers of the World Trade Center. People in the street gasped at the sight 1,350 feet up, and the photo and film coverage of the seemingly spontaneous event was extensive enough that this ultimate high-wire act went 1974’s version of viral. The 24-year-old acrobat in question was named Philippe Petit. He was initially regarded by police as a perpetrator, and was arrested as soon as he left his perch, though charges were soon dropped. Petit’s feat was commemorated in James Marsh’s 2008 Oscar-winning documentary Man on Wire, and is now getting a spectacular replay in The Walk, an IMAX 3D feature film directed by Robert Zemeckis and starring Joseph Gordon-Levitt as Petit. The time is clearly ripe for a look back at the story behind “the artistic crime of the century.” 

<출처 : http://www.biography.com/news/the-walk-philippe-petit-movie>

영화 vs. 실존인물

Joseph Gordon-Levitt as Philippe Petit
Joseph Gordon-Levitt
Born: February 17, 1981
Birthplace:
Los Angeles, California, USA
Philippe Petit
Philippe Petit
Born: August 13, 1949
Birthplace: Nemours, Seine-et-Marne, France
Charlotte Le Bon as Annie Allix
Charlotte Le Bon
Born: September 4, 1986
Birthplace:
Montréal, Québec, Canada
Annie Allix
Annie Allix
Birthplace: France
Ben Kingsley as Papa Rudy
Ben Kingsley
Born: December 31, 1943
Birthplace:
Scarborough, Yorkshire, England, UK
Rudy Omankowsky, Jr.
Rudy Omankowsky, Jr. (aka Papa Rudy)
Born: 1937
Birthplace: Czechoslovakia
Clément Sibony as Jean-Louis Blondeau
Clément Sibony
Born: November 30, 1976
Birthplace:
Paris, France
Jean-Louis Blondeau
Jean-Louis Blondeau
Birthplace: France
César Domboy as Jean-François Heckel
César Domboy
Born: March 10, 1990
Birthplace:
France
Jean-François Heckel
Jean-François Heckel (aka Jeff)
Birthplace: France
Steve Valentine as Barry Greenhouse
Steve Valentine
Born: October 26, 1966
Birthplace:
Bishopbriggs, Scotland, UK
Barry Greenhouse
Barry Greenhouse
Birthplace: USA
James Badge Dale as Jean-Pierre Dousseau
James Badge Dale
Born: May 1, 1978
Birthplace:
New York City, New York, USA
Jean-Pierre Dousseau
Jean-Pierre Dousseau (aka JP)
Birthplace: France
Ben Schwartz as Albert
Ben Schwartz
Born: September 15, 1981
Birthplace:
The Bronx, New York City, New York, USA
Alan aka Albert
Albert
Birthplace: USA
Benedict Samuel as David
Benedict Samuel
Born: 1988
Birthplace:
Australia
David aka Donald
David (aka Donald)
Birthplace: USA
To me it's so simple, that life should be lived on the edge of life. You have to exercise rebellion; to refuse to taper yourself to rules, to refuse your own success, to refuse to repeat yourself, to see every day, every year, every idea as a true challenge, and then you are going to live your life on a tightrope. -Philippe Petit, Man

 

<출처 : http://www.historyvshollywood.com/reelfaces/the-walk/>

'잡동사니/Scribbl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팅하고 돈벌기  (0) 2017.01.20
광고 용어  (0) 2016.11.28
Youtube(유투브)로 애드센스 계정 연동하기 팁  (0) 2016.01.07
답이 없는 질문들...  (0) 2015.12.30
youtube로 adsense 계정 승인받기 에러  (0) 2015.12.30
Posted by steeziness
,

be in line with : ~과 일맥상통하다. 같은 맥락이다.

비스니스 영어에서 자주 쓰인다.

일부 사전에서 처럼 ~와 일치하다로 해석되면 "identical"의 뉘앙스를 줄수 있어서 약간 misleading이 된다.

아래 예문과 같이 compliant with(준수하다)와 유사한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예문>They have said in the past the service is in line with regulations.


'영어공부/English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드 "The Office"로 영어공부하기  (0) 2015.12.27
calm and collected  (0) 2015.12.25
bent out of shape  (0) 2015.12.23
tell off  (0) 2015.12.23
open up a can of worms  (0) 2015.12.23
Posted by steeziness
,

인터넷의 발달과함께 소비자들은 물품의 구매를 위해 전자상거래에 의존하기 시작했다. 거기에 또 가격비교 전문 싸이트와 유명 포털의 가격비교 서비스가 큰 몫을 했다.
물리적인 상점에 대한 임대료가 가격에 포함되지 않으니 판매단가를 낮 출수 있었고 업체들간 가격비교가 한눈에 들어오니 가격은 더욱 경쟁적으로 내려갔다.
소비자에겐 축복이였다.
하지만 소비자에게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큰 단점이 있었다. 바로 실물을 직접확인 못한채 구매를 결정해야한다는 점이다. 소비자들은 기존 offline Retail store에서 물건을 입어보거나 써본 후 집에 돌아와 인터넷에서 동일한 물건을 검색했다. 심지어 스마트폰이 등장하고는 매장에서 채 나가기도 전에 인터넷에 접속해 최저가를 찾아 모바일로 구매를 완료하기도 했다.
이른바 "show rooming" 현상이 나타났다. Offline상점에 전시된 물건들을 구경만 할 뿐 실제 구매로는 이어지지 않는 현상이다. 물론 현재도 많은 상점업자들이 눈앞에서 그렇게 고객을 놓치고 있다.
이런 트렌드에 저항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바로 O2O이다. Online기반의 사용자 접점을 이용해 Offline으로 끌어들인다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장 큰 예로 우리나라의 Syrup을 들 수 있는데, 모바일로 상점에서 쓸 수있는 프로모션, 쿠폰을 제공해 상점에서의 구매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위치기반기술이 이런 서비스를 가장 극대화 시킬수 있는 enabler로 주목되기 시작했는데 가장 큰예로 Bluetooth LE기반의 Beacon을 들수있다. 사용자가 mall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품의 근처로 지나갈때 상품의 세일정보라든지 쿠폰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다. Dating app도 동일한 기술을 기반으로한 서비스이다. 이러한 기술과 사용자 분석(analytics)기술이 만나면 사용자의 선호도를 구분해 좀더 targeting된 광고가 가능하다. 위치기반기술은 이러한 BTLE 이외에도 GPS나 LTE ProSe기술 등이 있다.


Offline vs. Online 과연 이 두가지는 서로 상충할 것인가? 두 마리 토끼를 잡기위해 오프라인에 기반을 두고있던 대기업들은 온라인 판매망을 구축하기에 충분한 여력이 있었고 두가지 채널을 병행하여 운영하기 시작했다. 롯데, 이마트(신세계), 홈플러스 등은 온라인 시장에서도 성공을 거두었고 "옴니 채널"이라는 개념도 생겨났다. 둘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것이다. 

<사진 출처 : emaze.com>


'이동통신 이야기 > 통신사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면허 대역(Unlicensed)  (0) 2015.12.23
미국 FirstNet  (0) 2015.12.21
OTT (Over-the-Top)  (0) 2015.12.21
MVNO  (0) 2015.12.21
Posted by steeziness
,

최근 이통사들 사이에서는 LTE-U, LAA(Licensed-Assisted Access)라는 키워드가 화두이다.

네트워크 용량 증대를 위해서는 주파수 확보가 필수인데 이 주파수를 매입하려면(즉, 사용 라이센스를 취득하려면) 날이면 날마다 기회가 있는 것도 아니고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간다.

이미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대부분의 사용가능한 이동통신용 주파수가 경매로 할당되어 사용중이라 "주파수"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자원을 얻기위해 기존의 다른 용도로 쓰이던 대역(예를 들면 TV 방송대역)을 refarming하여 이동통신용으로 재배치하거나 아직 기술의 부재와 도달거리의 한계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고주파 대역(3.5GHz)이상의 대역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여기에 추가로, WiFi나 Blooth가 사용하고있는 2.4GHz, 5GHz대역은 누구나 사용할 권리가 있는 비면허(licensed)대역이고 LTE기술도 이와 동등하게 사용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14년 중순경 부터 San Diego의 모뎀칩 업체인 Qualcomm은 LTE-U라는 이름으로 기술의 표준화를 주도하면서 통신사들에게 약을 팔러 다니기 시작했다. 자사가 기술을 확보하고 있던 LTE 모뎀이 있었고, 여기에 추가로 비면허 대역까지 지원한다면 이것을 반기는 통신사들의 지지로 시장 지배력이 더 커질 것이라고 기대했을 것이다.

WiFi망을 운영하는 Comcast등의 케이블 서비스 업체와 Broadcom등의 WiFi칩업체 등 WiFi기술을 옹호하는 업체들은 기분이 나쁘기 시작했다. 일부 WiFi사용자들도 기분이 상했을 지도 모르겠다. WiFi를 공짜로 잘쓰고있었는데 누군가와 같이써야 될 뿐만아니라 이 새로 굴러들어온 놈이 깡패인지 어떤놈인지 알수가 없었던 것이였다.

지금 미국 규제당국(FCC)와 WiFi Alliance는 LTE-U(또는 LAA)가 기존 WiFi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동작을 해줄지 표준화와 테스트 결과에 대해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LTE-U나 LAA는 비면허 대역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LTE면허 대역과 Carrier Aggregation을 통해 시그널링은 Primary CC(carrier component)인 통신사 면허 대역을 통해 전달되고 큰 부하가 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비면허를 통해 offloading한다.

 

<3GPP 36.899>

Licensed spectrum needs for LAA

The amount of data traffic carried over cellular networks is expected to increase for many years to come. The number of users/devices is increasing and each user/device accesses an increasing number and variety of services, e.g. video delivery. This requires not only high capacity in the network, but also provisioning very high data rates to meet customers’ expectations on interactivity and responsiveness. More spectrum is therefore needed for cellular operators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Considering user expectations of high data rates along with seamless mobility, it is important that more spectrum be made available for deploying macro cells as well as small cells for cellular systems.

The preferred type of spectrum to efficiently serve users is licensed spectrum. Licensed spectrum can deliver predictable high-quality services with the highest spectral efficiency. In addition, in order to deliver predictable services, mobile operators perform heavy network investments, through careful planning and deployment of high-quality network equipment and devices. The justifications for such extensive capital investments require the reliability and operational assurance enabled by licensed spectrum. It is therefore essential that the regulatory community keeps focusing on identifying and allocating new licensed spectrum that can be utilized specifically for mobile communications.

Striving to meet the market demands,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from operators in deploying some complementary access utilizing unlicensed spectrum to meet the traffic growth. This is exemplified by the large number of operator-deployed Wi-Fi networks and the 3GPP standardization of LTE/WLAN interworking solutions. This interest indicates that unlicensed spectrum, when present, can be an effective complement to licensed spectrum for cellular operators to help addressing the traffic explosion in some scenarios, such as hotspot areas. LAA offers an alternative for operators to make use of unlicensed spectrum while managing one radio network, thus offering new possibilities for optimizing the network’s efficiency.

However, it is clear that unlicensed spectrum can never match the quality of the licensed spectrum regime. Unlicensed spectrum can never replace the need for more licensed spectrum due to its inability to be used in macro cells providing wide-area coverage and its general inability to provide highly robust quality-of-service due to the uncontrolled interference. Therefore, unlicensed spectrum is better used as “Licensed-Assisted Access” integrated into LTE, where it is considered as a secondary component carrier in a carrier aggregation scenario.

Since the primary component carrier in licensed spectrum will be used to carry some (or all) of the control signal (and possibly also data, e.g. retransmissions) of the traffic carried over the carrier in unlicensed spectrum, the use of unlicensed spectrum also increases the need for more licensed spectrum. Such need will be most obvious in deployment scenarios such as carrier aggregation between a macro cell operating in licensed spectrum and clusters of many small cells (remote radio heads) operating only in large chunks of unlicensed spectrum, i.e. deployment scenario 1 in Section 6. Furthermore, since a standalone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is not part of the study, the traffic increase will have to be supported by more network access capacity in licensed bands, e.g. using more licensed spectrum.

Thus, the use of LTE in unlicensed spectrum can serve as a useful additional tool by operators to maximize the value they can provide to users, while the core of the activity of the operators remains anchored to the licensed spectrum.

 

LBT란?

-     Listen-before-talk (Clear channel assessment)

     The listen-before-talk (LBT) procedure is defined as a mechanism by which an equipment applies a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check before using the channel. The CCA utilizes at least energy detection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other signals on a channel in order to determine if a channel is occupied or clear, respectively. European and Japanese regulations mandate the usage of LBT in the unlicensed bands. Apart from regulatory requirements, carrier sensing via LBT is one way for fair sharing of the unlicensed spectrum and hence it is considered to be a vital feature for fair and friendly operation in the unlicensed spectrum in a single global solution framework.

 

'이동통신 이야기 > 통신사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O2O(Online-to-Offline)  (0) 2015.12.24
미국 FirstNet  (0) 2015.12.21
OTT (Over-the-Top)  (0) 2015.12.21
MVNO  (0) 2015.12.21
Posted by steeziness
,
bent out of shape : 화나다. 열받다. 빡치다.
그 기원을 보면 처음에 bent는 "술취한"의 의미로 사용되었다가 점차 "화난"의 의미로 전환되었다. get bent 자체가 화났다의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get bent는 f*** off 와 같은 비속어의 순화 버전으로 쓰이기도한다.

예문>The driver got all bent out of shape when a motorcycle scratched his new car.

 

 

<출처 : SBS>


'영어공부/English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lm and collected  (0) 2015.12.25
be in line with ~  (0) 2015.12.24
tell off  (0) 2015.12.23
open up a can of worms  (0) 2015.12.23
fork out (some money)  (0) 2015.12.22
Posted by steeziness
,

tell off

영어공부/English Study 2015. 12. 23. 20:55
Tell (someone) off
(화내면서)야단치다.
예문>I told him off for lying to me

'영어공부/English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 in line with ~  (0) 2015.12.24
bent out of shape  (0) 2015.12.23
open up a can of worms  (0) 2015.12.23
fork out (some money)  (0) 2015.12.22
come back to bite you in the ass  (0) 2015.12.21
Posted by steeziness
,
Do you really want to open up a can of worms?
이라고하면, 말하자면 길어... 모르는게 약이야... 라는 뜻이다.
뭔가 골치아픈 것을 덮어 뒀다가 공개하는 상황을 말한다.

'영어공부/English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nt out of shape  (0) 2015.12.23
tell off  (0) 2015.12.23
fork out (some money)  (0) 2015.12.22
come back to bite you in the ass  (0) 2015.12.21
mull  (2) 2015.12.21
Posted by steeziness
,
한남동 맛집 구 스테이크에서 저녁식사 후기입니다.
스테이크 애호가라면 꼭 가서 평가해 보시길... 맛있다고 결론을 내리면 맛에 민감한 분들의 공격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단, 가격은 비싸다. 지갑을 두둑히 채워서 가시길...

테이블 세팅

부위를 정하고 싸이즈는 이미 손질되어 있는 해당 부위의 옵션 내에서만 선택 가능하다. 한마디로 본인이 원하는 싸이즈를 정확히 썰어서 주지 않는다.

채끝 (27,000/100g)

립아이 (30,000/100g)


<위치>

http://map.naver.com/local/siteview.nhn?code=21587476


'식도락/Gour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초 먹거리 - 달래촌  (0) 2016.01.14
속초 먹거리 - 봉포 머구리집  (0) 2016.01.11
멕시코 식당 (신천)  (0) 2016.01.02
신천 쌀통닭  (0) 2016.01.01
수라선 (신천) 후기  (0) 2015.12.25
Posted by steeziness
,
이번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아기를 위한 미니 크리스마스 트리를 구입했다.
구입처는 고속버스터미널 지하상가에 위치해있다.
터미널에서 반포역 쪽으로 가다보면 크리스마스 장식과 소품들을 파는 가게가 줄지어 있다.
여러 가게에 납품되는 뻔한 장식들이 있는가하면 감각있는 가게 주인들이 직접 제작한 장식들도 있다.

싸이즈는 작아도 은근히 집안을 크리스마스 분위기로 꽉채워 준다.

단점은 선물 양말을 달 수가 없다. 선물이 반지라면 가능할 수 도...

'급관심사/Seasonal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C] 3급 대비 초급 어휘  (0) 2016.07.07
[TSC] 기본 다지기  (0) 2016.07.06
IT buzz word : 챗봇 (chatbot)  (0) 2016.06.01
쇼미더머니 5 : 때아닌 힙합 열풍  (1) 2016.05.31
침의 효능  (0) 2015.12.30
Posted by steeziness
,
fork out : 돈을 쓰다. 지출하다 라는 의미의 구어체적인 표현이다.

유사한 표현으로 아래와 같이도 쓰인다. 

fork out a fortune
fork out a lot of dough


여기서 fortune 또는 dough는 모두 "돈"을 뜻한다.


예문> I just forked out a lot of dough for my car.


'영어공부/English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ll off  (0) 2015.12.23
open up a can of worms  (0) 2015.12.23
come back to bite you in the ass  (0) 2015.12.21
mull  (2) 2015.12.21
putting the finishing touches on it  (0) 2015.12.19
Posted by steeziness
,